
오늘의 핵심
- 최대시각: 03:11 (달 고도 약 31°, 남서쪽 하늘)
- 개기식(붉은 달): 02:30 ~ 03:53 (약 83분)
- 풀 타임라인: 00:28 시작 → 05:55~56 종료
- 빠른 보기: 실시간 라이브/관측회 버튼 아래에서 확인
개기월식 한국 관측 시간표 (KST)
구분 | 시각 | 비고 |
---|---|---|
반영식 시작 (P1) | 00:28 | 눈으로는 미세, 사진/타임랩스 권장 |
부분식 시작 (U1) | 01:26:48 | 달 가장자리가 어둡게 깎여 보임 |
개기식 시작 (U2) | 02:30:24 | 붉은 달(블러드문) 시작 |
최대식 (Greatest) | 03:11:48 | 달 고도 약 31°, 남서쪽 하늘 |
개기식 종료 (U3) | 03:53:12 | 붉은 달 종료 |
부분식 종료 (U4) | 04:56 | 점차 원형 회복 |
반영식 종료 (P4) | 05:55~05:56 | 육안 식별 어려움 |
※ 지역별 시각 차이는 거의 없지만, 달의 고도(남서쪽)·시정·구름량에 따라 체감 가시성은 달라집니다.
실시간 보기 · 관측회
구름이 많아도 아쉬워하지 마세요. 라이브 스트리밍과 지역 관측회가 준비되어 있습니다.
🔴 실시간 라이브/타임라인 보기 한국천문연구원 안내 전국 행사 모아보기
지역별 명당 선정법(빠르게 고르는 5가지 체크)
- 방위: 최대시각에는 남서쪽 하늘을 봅니다.
- 고도: 약 31° → 전망 좋은 고지대/서쪽 시야 트인 공원 유리.
- 시정: 강변·분지보다 바람이 통하는 언덕/전망대가 유리.
- 광해: 도심 조명 적은 곳, 건물/송전탑 시야 방해물 최소화.
- 접근성: 심야 안전(조도/화장실/주차) 체크. 가족 관측이라면 공원/천문대 추천.
예시: 대도시는 한강·금강 등 강변 고지 전망대, 도시 외곽 전망공원/천문대, 해안도시는 방해물 적은 해변 둔치.
스마트폰/카메라 촬영 팁
스마트폰(아이폰/안드로이드)
- 삼각대 + 타이머(3초) 또는 리모컨 사용 → 흔들림 최소화
- 노출 잠금(AE/AF Lock) → 밝기 살짝 낮춰 붉은 색감 살리기
- 망원 클립렌즈가 있으면 사용, 없으면 과도한 디지털줌 금지
- 라이브포토/연사 대신 인터벌 앱으로 1~3초 간격 타임랩스 추천
미러리스/DSLR(입문·중급 공통)
- RAW 촬영, 삼각대, 릴리즈(또는 2초 셀프타이머)
- 개기식(붉은 달):
1/2~1초 · f/4~f/5.6 · ISO 800~1600
부터 테스트 - 부분식(밝은 달):
1/250~1/1000초 · f/5.6 · ISO 100~400
- 매 프레임마다 히스토그램 확인 → 하이라이트 날림 방지
* 위 값은 시작점(가이드)입니다. 구름/광해/장비에 따라 ± 조정하세요.
관측 전 마지막 체크리스트
- 중·고층운(Altostratus/Altocumulus) 예보, 가시거리(시정), 풍속
- 야외 준비물: 담요·접이의자·보온병·벌레퇴치·보조배터리·헤드랜턴
- 아이와 함께라면: 관찰일지 양식, 달 그림자 변화 스케치 도구
다음 총월식은 언제?
2026년 3월 3일에도 총월식이 예정되어 있습니다. 오늘 관측이 어려우면 일정만 캘린더에 저장해두세요.
자주 묻는 질문
맨눈으로 봐도 괜찮나요?
네. 월식은 태양 관측과 달리 맨눈으로 안전하게 볼 수 있습니다. 쌍안경/소형망원경이 있으면 더 선명합니다.
어느 방향을 보면 되나요?
최대시각(03:11) 무렵 남서쪽 하늘입니다. 건물/산으로 가려지지 않는 시야가 중요합니다.
스마트폰으로도 붉은 달 색이 담기나요?
가능합니다. 삼각대·노출잠금·낮은 밝기·인터벌 촬영을 조합하면 색과 윤곽이 더 잘 나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월식 촬영 명당 & 주차장|도시별 시간·방위·고도 + 막차·첫차·우천시 라이브
Tags: 개기월식, 총월식, 붉은달, 2025월식, 천문현상, 관측스팟, 촬영팁, 라이브중계, 한국천문연구원, timeanddate
Tags:
이벤트